상식/핥아보기

고조선 건국신화를 중국과 일본이 싫어하는 이유 (한반도 역사의 기원)

soures 2025. 5. 20. 09:14
728x90
반응형

📌 중국이 대형 피라미드를 공개하지 못한다는 주장에 대한 진실은?

중국 서안 근처에 피라미드 형태의 거대 무덤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안에서 한국 유물이 발견되었다거나 중국 정부가 이를 은폐하고 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 이러한 주장이 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 한국이 중국 문화를 뺏어갔다는 중국인들의 인식과 결합되어 중국인들을 자극하는 논리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 일부 한국인들이 잘못된 역사관으로 세상을 혼란스럽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 영상은 고조선 건국 신화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부정적인 시각과 그 이유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중국은 고조선 신화가 자국의 역사적 기원과 상징적 역사의 시작인 요임금시기와 유사하다는 점에 불편함을 느끼며, 한국이 중국 문화를 뺏어 자기 것이라고 주장한다는 인식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일본 또한 자국의 천조 신앙과 관련된 연대보다 고조선 신화의 연대가 앞선다는 점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입니다. 이 영상은 단군 신화에 등장하는 마늘, 곰 숭배, 그리고 부여의 사슴 숭배와 같은 요소들을 통해 고조선 건국 신화가 단순한 전설이 아닌, 고대 한반도와 만주지역의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담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반응형

1. 🇨🇳 중국 피라미드와 가짜 뉴스 논란

  • 중국의 수백 개의 피라미드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일부 안에서 한국의 유물로 추정되는 것들이 발견되었다고 주장하는 가짜 뉴스가 있다 .
  • 이러한 가짜 뉴스는 한국이 중국의 문화를 훔쳐 갔다고 주장하여 중국인들을 더 자극하는 논리가 된다 .
  • 사실 중국의 많은 고대 무덤들은 장대한 규모로, 황제 및 귀족의 무덤이 발굴된 것이 많아 숨기기 어렵다 .
  • 비파형 청동검과 관련하여, 중국의 유물 속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드물며 주로 전국 시대 연나라의 경우에만 발견되었을 뿐이다 .
  • 이러한 허위 정보는 한국인들조차 믿기 어려운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는 잘못 번역되어 많은 이들이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

 

2. 🐻 고조선 신화와 곰의 상징성

  • 한국은 고조선에서 시작됐으며, 단군 할아버지가 그 founding figure로 여겨진다 .
  • 단군 신화의 주인공인 단군에 대한 기록은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하며, 번역에 따른 논란이 있다 .
  • 마늘의 기원에 대한 오해가 있으며, 마늘은 서기 7세기 이후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고조선 신화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된다 .
  • 한국과 일본, 중국은 각각 고조선 신화의 역사적 의미에 민감하며, 고조선의 시작과 관련해 애초부터 역사적 정체성을 부정하고 저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
  • 신화에서의 곰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곰이 길들여질 수 있는 동물로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곰을 숭배하는 문화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

 

3. 🐻 곰의 상징성과 유럽에서의 변화

  • 고조선의 건국신화에 나타나는 곰은 일본의 북해도 지역 아이누족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며, 이는 고시베리아 족의 한 양태이다 .
  • 곰은 유럽에서 한때 숭배의 대상이었으나, 기독교의 강화로 인해 사자로 변환되며 멸시 받기 시작했다 .
  • 중세 유럽의 귀족들이 곰을 문장에 그리던 시기가 있었으나, 이후 곰은 탐욕스럽고 멍청한 동물로 묘사되며 부정적인 인식을 얻게 되었다 .
  • 곰은 겨울잠을 자고 봄에 부활하는 이미지로 인해, 우리 민족의 상징으로 죽어도 살아나는 능력을 지닌 존재로 여겨졌다 .
  • 곰은 유라시아전역에서 공통적으로 신화에 등장하며, 이는 곰 숭배신앙이 기독교의 확산으로 인해 사라진 지역들도 있었다 .

 

4. 🐻 고조선 건국신화와 부여 신화의 상관관계

  • 고조선의 건국신화는 곰과 신의 결혼을 중심으로 하며, 단군 신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 부여의 신화는 동명왕을 중심으로 하여, 이후 고구려로 이어졌으며, 이 역시 중요한 역사적 연결성을 지닌다.
  • 고조선은 유일신을 숭배하는 신화적 요소를 도입하였고, 이는 당시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 부여신화는 신격화된 신들의 이야기와 결합하면서, 문화적으로 지역적 엘리트 계층의 고민을 반영한 결과물로 추정된다.
  • 한국의 건국신화는 여러 신적 요소가 결합하며 발전해왔고, 이는 고조선과 부여의 근본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728x90

5. 🐻 고조선 신화와 다신교의 상징성

  • 고조선의 창조신화는 하늘신과 연결된 곰과 하백계의 유화세력 간의 발전을 바탕으로 하여 이야기된다 .
  • 일신론은 선택의 어려움이 있으며, 일신 숭배의 어려움이 강조된다 .
  • 이집트의 창조신화는 다양하며, 헬리오폴리스 계통의 창조 신화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 해모수는 태양을 상징하는 존재로, 하늘에 떠 있는 해의 숭배와 관련이 있다 .
  • 곰은 신적인 존재로 여겨지며, 고조선 민족의 기원과 연결되며, 마늘은 페르시아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

 

 

원본영상 https://youtu.be/RvakuVM26ZM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