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MS Office가 불편하다고 느끼는가. 가격도 비싸고, 다양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과분한 선택이다. 물론 강력한 프로그램 인건 부정할 수 없다. 왜 많은 사람들이 많은 돈을 주면서 MS Office를 사용하고 있는가. 과장을 보태서 왜 MS의 노예가 되었는가 생각하면 MS가 가장 잘 만드는 것은 OS가 아니라 Office 프로그램인지도 모른다. 그래도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이다. 오늘은 MS 오피스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Office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1. LibreOffice
(완전 무료, Windows/Mac/Linux/Android)
오라클에 반발하여 OpenOffice를 포크하여 나온 오픈소스 스프트웨어로, 현재는 오픈소스 오피스 진영의 선두주자라 볼 수 있다. 리눅스에는 기본적으로 리브레 오피스가 설치되어 있어서, 리눅스를 사용해 본 사람들은 아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사실 국내 환경에서 호환성이나 실사용에서 큰 점수를 주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국내에서는 hwp 문제가 있으니까). 다행히 꾸준히 업데이트해서 많이 좋아졌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덕분에 사용하기 쉽고, 기본적인 워드 프로세스,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모두 갖추고 있다(hwp 편집도 지원함).
2. Apache OpenOffice
(무료, Windows/Mac/Linux/Android)
예전 StarOffice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가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인수하고 이후 오라클이 썬을 인수하며 넘어갔다. 이때 막장운영으로 프로그램 업데이트도 한동안 중단하였고 개발자들도 OpenOffice에 반발하고 나와 위 LibreOffice를 만들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프로그램도 안좋아지게 되었다. 그렇게 방치하다 오라클에서 포기하고 Apache 재단으로 넘겨 현재의 Apache OpenOffice가 되었다.
하지만 기업에서 관리한 만큼 막장일 때도 Libre Office보다 나은 점이 없지는 않았다고들 한다. 예를 들면 대용량 파일 처리, 자잘한 버그해결, 유니코드 언어(한글) 지원 등이 그랬었다.
하지만 LibreOffice가 쓸만해진 이후, 사람들의 관심에서 잊혀졌다. 시간이 지나 오라클이 Apache에 넘긴 지금은 어떤지 구체적으로는 모르나 사람들의 관심도나 업데이트 상황으로 볼때 아직은 명맥을 잇는 정도로 보인다.
3. FreeOffice
(무료 Windows/Linux/Android )
프리오피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MS 오피스와의 호환성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이 호평이 많다.
4. WPS Office
(개인 무료/유료, 비즈니스 유료, Window/Linux/iOS/Android)
중국 Kingsoft의 오피스 프로그램.
WPS 오피스는 MS 오피스와 비슷한 인터페이스로 많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프로그램이다. 무료 버전에서도 꽤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다만, 중국발 프로그램이라 그런지 보안 이슈가 한동안 있었는데 현재는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었다. (WPS 오피스 보인 이슈 해결법)
웹/클라우드 중시 프로그램
5. Google Docs
(완전 무료)
구글 독스는 아마 자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아닐까 한다. 또한 구글 계정만 있으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고, 실시간 협업을 통한 팀 프로잭트에도 사용가능하다. 구글 드라이브로 언제 어디서나 확인 수정이 가능한 것도 굉장한 매력이다.
6. Polaris Office
(개인 무료/유료, 비즈니스 유료, Window/Mac/iOS/Android/Web)
모바일로 시작해 웹/PC버젼으로 진출한 사례.
오피스로써의 성능과 호환성이 그럭저럭 쓸만하고(HWP 지원 포함) 특히 기능적으로는 클라우드 연동기능이 좋아 PC와 모바일을 오가며 사용할때 쓸만하다. 본인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특히 hwp도 지원한다. 서비스 초반에는 광고에 버그도 많고 광고가 뜨면 프로그램이 버벅이는 현상이 있어서 사용이 꺼려졌지만 그런 현상은 많이 해결했다.
7. Hancom Netffice 24
(개인 무료/유료, 비즈니스 유료, Window/Mac/iOS/Android/Web)
가격표: https://www.netffice24.com/plans
예전 자바 애플릿으로 돌아가는 버젼을 사용해봤는데 쓸만하며, 특히 기업용 클라우드 버젼을 구축한다면 꽤나 훌륭하게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유료버젼은 개인사용자에게도 훌륭한 프로그램이라고 보나 무료 대체가 넘쳐나는 상황에서 상대적 가치가 떨어진다.
마치며
이상으로 주요한 오피스 프로그램들을 알아봤다. 많은 프로그램이 있지만 각각 특색이 있고 이용하는 포인트가 있기 때문에 무엇이 정답이라고 할 수 없다. 각자 환경에 맞춰서 프로그램을 찾아 쓰는 게 귀찮기도 하겠지만, 현실적인 부분을 생각하고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IT > IT news&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패드 미니 7세대 발표 (0) | 2024.10.16 |
---|---|
아이폰의 역사 (0) | 2024.10.03 |
카메라폰의 역사 (0) | 2024.09.30 |
아이폰 16 카메라 논란 정리 (0) | 2024.09.30 |
배터리(Battery)의 역사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