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톺아보기

꼭 기억해야 할 '매국노'! 그리고 '독립운동가'!

soures 2025. 3. 1. 17:35
728x90
반응형

이 영상은 매국노 윤덕영독립운동가 이재명이라는 극명하게 대조되는 두 인물을 통해 잊혀서는 안 될 역사를 상기시켜 줍니다. 윤덕영은 한일합방당시 고종의 옥새를 강탈하고 막대한 부를 축적한 친일파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반면, 이재명은 이완용을 처단하려 했던 열혈 독립투사로, 그의 용기와 희생은 삼일절을 맞아 더욱 깊이 되새겨야 할 가치입니다. 이 영상은 단순한 역사적 사실 전달을 넘어, 올바른 역사 인식을 통해 국가와 민족의 의미를 되짚어보게 합니다.

반응형

1. 📜 역사적 인물과 그에 얽힌 논란 [00:00:00] (2분)

  • 썬킴이 거침없는 세계사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시청자와 인사를 나눈다.
  • 독재자 킬러라는 별명을 가진 지미 카터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소개한다.
  • 지미 카터가 박정희 대통령, 김일성, 차베스 등을 만난 후 그들이 사망한 일화를 설명한다.
  • 삼일절을 맞아 친일파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며, 이완용과 같은 인물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표출한다.
  • 삼일절에 독립선언서를 읽은 33명 중 하나의 존재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언급한다.

2. 📜 윤덕영과 매국노의 역사 [00:02:52] (6분)

  • 윤덕영은 일제 시대에 활약한 친일파로, 서촌 지역 대부분의 땅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는 일제의 친일 대가로 얻은 결과이다.
  • 1905년 을사늑약을 통해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아 간 배경과 함께, 윤덕영이 그 중요한 역할 중 하나였음을 강조한다.
  • 1910년 강제 퇴위 이후, 윤덕영은 황제 순종의 도장을 강제로 찍어 나라를 일본에 넘기는 데 기여했다. 이는 그가 고위직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 윤덕영은 이완용보다 더 많은 은사금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그의 영향력과 친일 행위를 부각시킨다. 윤덕영은 약 400억 원을 수령한 것으로 추정된다.
  • 현재 서촌 지역은 윤덕영의 토지가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그가 가진 땅의 규모를 나타낸다.

3. 🏛️ 윤덕영과 벽수산장 [00:09:06] (2분)

  • 윤덕영은 일제 강점기 동안 서촌 땅을 일제히에 받아 축구장 8배 크기의 별장인 벽수산장을 건설했다.
  • 벽수산장은 프랑스 설계도로 지어졌으며, 천장이 유리 어항으로 되어 있었다.
  • 윤덕영은 194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자손들은 재산을 국가에 뺏겼지만 나라에 반해 소송을 걸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패소로 끝났다.
  • 벽수산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양변기가 들어간 집으로 알려져 있다.
  • 윤덕영은 매일 밤 기생들을 불러 파티를 즐겼고, 측간은 조방으로 되어 있었다.

4. ⚖️ 윤덕영과 고종 황제의 관계 [00:11:31] (1분)

  • 윤덕영은 1910년에 나라를 잃게 만든 주요 인물로 정의된다.
  • 이완용은 1917년에 일본 왕에게 가서 한국의 독립과 관련된 고백을 하려 하지만, 고종황제는 이를 거부한다.
  • 고종은 이완용의 위협에 시달리며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게 된다.
  • 이후 고종은 "허락이 날 때까지 방에서 나오지 않겠다"는 결단을 내린다.

5. 📚 친일파와 독립운동가의 역사 [00:13:14] (4분)

  • 윤덕영은 친일 행위로 유명하며, 그의 행동이 일본 측에서도 논란이 되었던 사실이다.
  • 고정이 1919년 1월 21일에 갑작스럽게 사망했으며, 이는 독살로 의심되고 있다.
  • 일본 측의 문서에서 윤덕영이 고정을 설득하고 실패할 경우 처치하라는 명령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재명열사는 1909년에 이완용을 처치하려고 한 독립운동가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의거 장소가 명동성당근처에 위치해 있다.
  • 이토 히로부미를 처음 목표로 했던 이재명의 행동은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묘사된다.

6. 🗡️ 이재명의 독립운동과 이완용 암살 시도[00:17:51] (4분)

  • 김구 선생과의 만남에서 이재명은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려는 의지를 보였으나, 김구가 그의 나이가 너무 어리다며 만류했다.
  • 이재명은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처치한 후, 목표를 이완용으로 바꿨다.
  • 이재명은 1909년 12월 22일, 명동성당 앞에서 칼을 사용해 이완용에게 치명상을 입혔으나, 이완용은 즉시 일본 순사에게 체포되었다.
  • 재판에서 이재명은 "난 죽지만, 수십만의 이재명이 다시 태어나 일본을 멸망시킬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며 사형선고를 받았다.
  • 이재명의 시신은 서대문형무소에서 김구 선생에 의해 회수되었고, 묻기 전 권총과 함께 장사 지내졌다.
728x90

7. ✊ 매국노와 독립운동가의 기억 [00:22:36] (2분)

  • 이재명열사는 23살의 나이에 순국하였고, 그의 기억이 필요하다.
  • 최악의 매국노인 윤덕영은 실질적으로 나라를 망하게 한 인물로 평가된다.
  • 윤덕영과 이재명 의사는 각각 잘 알려지지 않은 친일파와 독립투사로, 두 사람을 꼭 기억해야 한다.
  • 특히, 윤덕영의 땅은 현재 사람들이 다니는 기름떡볶이가 있는 장소와 관련이 있다.
  • 독립운동가와 매국노의 이름을 잊지 말고 역사 속에서 그들의 역할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원본영상 https://youtu.be/B9MDVeHL0gw

LIST